
d rwx r-x r-x@ 5 mogreene staff 160 4 22 15:24 Blog 각각을 따로 본다면 d : 파일유형('d'의 경우 Blog라는 디렉토리, 파일일경우 '-' 라고 나온다.) rwx r-x r-x : 순서대로 소유자, 그룹, 제3자 되겠다. r : 읽기 권한 w : 쓰기(수정, 삭제) 권한 x : 실행 권한 mogreene : 소유자 staff : 그룹 160 : 잘은 모르겠지만 파일크기가 되는것 같다 그 후 숫자 : 마지막으로 변경된 시간 Blog : 파일명 즉, 해석하자면 소유자인 나의 경우 rwx의 권한이 전부 있고, 같은 그룹 + 제3자의 경우 읽기와 실행권한이 있다는 뜻이다. https://mo-greene.tistory.com/81 Clear Read-Only Stat..
Backend/Linux 2023. 5. 17. 17:0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AG
- 토스페이먼츠
- vuex
- 알고리즘
- springboot
- java 플레이그라운드
- for
- pinia
- 다음 큰 숫자
- 짝지어제거하기
- 객체지향
- mybatis구현
- 스프링부트
- 타임리프
- 책리뷰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프로그래머스
- JWT
- Vue.js3
- 리눅스마스터2급
- script setup
- 맥 error
- CompositionAPI
- it책 리뷰
- vue.js
- 한권으로끝내기리눅스마스터2급
- 객체 지도
- 함께모으기
- LEVEL2
- 정수형으로 변환
- SpringSecurity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