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캐시가 뭔가요?
간단한 요약
cash(x) cache(o) 뜻 : 은닉처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나 값을 미리 저장해 놓는 임시장소
캐시의 사용이유
파레토의 법칙
상위 20%의 데이터를 저장해 놓으면 결과(웹페이지)가 나오는 속도는 더욱 빨라진다.
대략적으로 캐시란?
https://support.google.com/accounts/answer/32050?hl=ko&co=GENIE.Platform%3DDesktop
- 이미지 파일
- CSS 파일
- HTML 파일
- 자바스크립트 파일
캐시가 없다면 어떨까
반대로 네이버를 접속하는데 네이버에 있는 모든 css, html, 자바스크립트를 매번 호출하는건 매우 불필요한 일이 아닐까 (캐시데이터는 사용자가 별로 없는 사이트의 경우 안만들어도 무관하다.)
더 넓게 생각해서 캐시가 없다면 나를 포함한 전세계사람들이 네이버를 사용하는데 강원도 춘천에 있는 네이버 데이터센터가 전국의 사람들에게 모든 이미지파일과 css, html, 자바스크립트를 요청해야한다. 그렇게 된다면 페이지가 불러와지는건 과연 언제일까.
그래서 우리는 ‘일반적인 요청’ 에 대한 응답을 미리 저장하여 서버에 부담줄이는 목적으로 캐시를 사용한다.
번외)
- “일반적인 요청에 대한 응답”이라는 걸 어떻게 정의하지?
- 캐시를 얼마나 유지할까?
[번역] 슈퍼마켓에서 우유를 사면서 웹 캐싱(Web Caching)을 알아봅시다
https://www.rinae.dev/posts/web-caching-explained-by-buying-milk-kr
캐시 데이터의 용량은 크지 않으므로 브라우저는 새로운 데이터를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안쓰는 데이터를 제거한다.
캐시 데이터는 컴퓨터와 시스템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지만, 시간이 지나 너무 많이 쌓이면 컴퓨터의 성능을 갉아먹고 저장 공간을 낭비한다.
'사견 >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RS란? (0) | 2022.06.13 |
---|---|
0611 미니프로젝트 (0) | 2022.06.11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JVM (0) | 2022.05.22 |
0518 객체지향 (0) | 2022.05.18 |
이상한 문자 만들기 (0) | 2022.05.17 |
- 맥 error
- 정수형으로 변환
- 책리뷰
- for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타임리프
- 객체지향
- 함께모으기
- 토스페이먼츠
- 프로그래머스
- 짝지어제거하기
- 알고리즘
- it책 리뷰
- script setup
- 다음 큰 숫자
- LEVEL2
- vue.js
- 한권으로끝내기리눅스마스터2급
- 리눅스마스터2급
- JWT
- pinia
- vuex
- CompositionAPI
- Vue.js3
- mybatis구현
- 객체 지도
- java 플레이그라운드
- 스프링부트
- SpringSecurity
- springboot
- Total
- Today
- Yesterday